[심화하기] 엔트리를 활용하여 나만의 게임 만들기
엔트리를 활용하여 나만의 게임 만들기
3) 이름 이외에 다른 데이터도 바꿔봅시다.
|
4) 게임을 다시 실행해서 데이터가 바뀌었는지 확인해봅시다. |
5) 다섯 고개 게임의 데이터와 코드, 오브젝트 등을 자유롭게 바꿔봅시다. |
6) 내가 만든 다섯 고개 게임을 발표해봅시다. |
★ 동료 평가
심화 - 전문가 인터뷰 : 데이터 과학자란?
|
정보(데이터) 바다에서 가치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뽑아내고 분석하는 과학자.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방향을 제시하는 전략가. 한 마디로 ‘데이터를 잘 다루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과학자는 데이터 공학기술과 수학, 통계학, 고급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복합적이고 고도화된 지식과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
데이터 과학자 인터뷰 - 이 직업을 어떻게 선택하게 되셨나요?
|
Q.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A. [김재은님] 네이버 데이터 인사이트 센터(Data Insight Center)에서 데이터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재은입니다. 현재 네이버 전사 데이터 분석을 담당 하고 있습니다. A. [박연하님] 네이버 데이터 인사이트 센터에서 데이터 분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박연하입니다. 데이터 과학자로서 사용자들이 남긴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치를 찾아내어, 사용자와 파트너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
Q. 데이터 과학자로 진로를 설정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A. [김재은님] 저는 문과 과목보다는 이과 과목에 더 재능이 있었습니다. 수학의 확률과 통계 부분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정확한 수치를 바탕으로 예측하는 활동이 즐거웠습니다. 이런 흥미를 바탕으로 통계를 전공하게 되었고, 석사과정까지 밟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선배들의 영향을 받아 데이터 과학 분야에 몸담게 되었습니다. A. [박연하님] 저도 어릴 적부터 수학에 관심이 많았고, 수리통계 쪽으로 진학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진로를 결정할 때는 네이버에 입사하신 학교 선배님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데이터 마이닝을 세부전공으로 하여 통계학으로 학사, 석사를 졸업했습니다. |
Q. 데이터 과학과 관련해 주목하고 있는 분야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1920년에 태어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간호사이면서, 작가이기도 했지만, ( 데이터 ) 과학자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학문이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전달하는 과정을 ( 데이터 과학 )(이)라고 합니다. |
★ 스스로 평가해볼까요?
이번 주제에서 배운 내용을 생각하며, 스스로 평가해봅시다.
데이터 과학과 데이터 과학자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 ☆ ☆ ☆ ☆ ☆ |
친구들의 데이터를 수집해서 기록할 수 있다. | ☆ ☆ ☆ ☆ ☆ |
엔트리 데이터 과학 기능을 활용해서 간단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