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하기] 분석 결과를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분석 결과를 시각화해주는 프로그램 만들기
1. 엔트리를 활용하여 시각화 프로그램 만들기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를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다음 엔트리 링크 [http://naver.me/xnKQqoSu] 에 접속한 후 코드보기를 클릭합니다.
장면1이 미리 생성되어 있습니다. 별점, 좋아요, 댓글 아이콘을 누르면, 각 웹툰을 나타내는 원들의 크기가 데이터에 따라 변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수업 Tip
교사는 1가지만 모델링해주고, 이후부터는 학생이 직접 코딩을 해볼 수 있도록 합니다.
|
1) 먼저, 별모양을 누르고, ‘블록’ 탭을 눌러주세요. 어떤 이미지에 블록코딩을 하려면, 반드시 그 이미지를 누른 다음 블록을 쌓아야 합니다. |
2) 속성 탭에서 신호 버튼을 누른 후, 신호 추가하기를 선택합니다. 신호의 이름에 웹툰 이름을 입력한 후 확인을 누릅니다. 다음과 같이 3가지 웹툰의 이름(여신강림, 유미의 세포들, 독립일기)을 입력하여 신호를 만들어줍니다. |
|
3) 이번에는 블록 탭에서 시작 탭(초록색)을 눌러줍니다. 미리 준비된 블록 4개를 이미지와 같이 조립한 후, 신호 보내기 옵션을 각각 선택해 완성해줍니다. (오브젝트를 클릭했을 때, 각 웹툰 제목에 따라 신호를 보내도록 블록을 조립합니다.) |
|
4) ‘독립일기’ 오브젝트(빨간색 원)를 클릭하면, 그림과 같은 블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준비 블록> ‘독립일기 신호를 받았을 때’ ‘크기를 10(으)로 정하기’ ‘10 x 10’ ‘테이블 ‘만화비교’ (2)번째 행의 ‘별 점 평균’ 값’ |
5) 왜 (2)번째 행으로 입력했을까요? 만화비교 테이블의 2번째 행에 ‘독립 일기’의 값이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독립일기’의 값이 다른 행에 있 다면, 그 행이 몇 번째인지 확인하고,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해줘야 합니다. |
|
7) 이번에는 ‘유미의 세포들’(초록색 원) 오브젝트를 클릭합니다. |
8) ‘독립일기’ 오브젝트의 블록을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해주세요. (코드에 마우스 커서를 갖다 대고 오른쪽 커서를 누르면 ‘복사하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9) 마찬가지로 ‘여신강림’ 오브젝트에도 같은 블록을 복사하여 만들어줍니다.
10) 완성 후 ‘재생’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별 모양을 클릭하면, 각 웹툰의 원 모양 크기가 평균 별점의 크기에 맞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11) 속성 탭에서 ‘신호’를 클릭하고, ‘신호 추가하기’를 클릭합니다. 왼쪽 이미지와 같이 ‘독립일기 좋아요’, ‘유미의세포들 좋아요’, ‘여신강림 좋아요’, 신호를 추가해줍니다. |
|
12) 이번에는 ‘하트’ 오브젝트를 클릭합니다. 미리 준비된 블록 4개를 이미지와 같이 조립한 후, 신호 보내기 옵션을 각각 선택해 완성해줍니다. |
|
13) 다시 ‘독립일기’ 오브젝트를 클릭합니다. 기존에 조립되어 있던 ‘독립일기 신호를 받았을 때’ 블록 꾸러미 아래에, 별도의 블록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14) ‘독립일기 신호를 받았을 때’ 블록 꾸러미를 복사하여, 아래에 붙여넣기를 해줍니다. 그리고, 각 블록의 옵션을 아래와 같이, ‘독립일기 좋아요’, ‘좋아요 평균’으로 변경하고 나누는 숫자는 ‘400’으로 바꿔줍니다.
15) 나머지 웹툰들에도 블록을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해 주세요. 물론, 신호 블록(초록색)과 데이터 블록(파란색) 안에 있는 정보는 알맞게 바꿔주어야 합니다.
16) 속성 탭에서 ‘신호’를 선택하고 ‘신호 추가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여신강림 댓글’ 신호, ‘유미의세포들 댓글’ 신호, ‘독립일기 댓글’ 신호를 각각 추가해줍니다. |
17) 댓글 아이콘 오브젝트를 클릭합니다. 미리 준비된 코드를 이미지와 같이 조립한 후, 신호보내기 옵션을 각각 선택해 완성해줍니다. |
|
|
18) 앞선 Step들과 같은 방식으로 블록을 완성해줍니다.
|
19) 재생 버튼 누르고, 별점, 좋아요, 댓글을 각각 클릭하여 데이터의 크기 변화를 살펴봅시다. |
2.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하기
지금까지 데이터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여러분, 느낌이 어떠셨나요?
이제부터는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여러분들이 어떤 웹툰을 그릴지 구체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활동을 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데이터 과학자의 역할을 하는 만큼, 결정은 앞서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야 합니다. 논리적인 이유까지 있다면 더욱 좋겠죠!
수업 Tip
웹툰을 참고하고 싶다면, 분석한 웹툰의 1개 화를 감상해도 좋습니다.
<워크 시트> 1.어떤 형식의 웹툰을 그려볼까요? 이유도 함께 적어보세요. (스토리, 에피소드, 옴니버스) 2. 어떤 장르의 웹툰을 그릴까요? 이유도 함께 적어보세요. (일상, 개그, 판타지, 액션, 드라마, 순정, 감성, 스릴러, 시대극, 스포츠) 3. 주인공은 누구이며 어떤 특징을 가졌나요? 4. 위와 같이 주인공을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 어떤 장면을 그려볼까요? |
쉬어가기(2) 전문가 인터뷰 : 데이터 과학을 ‘나’와 연결하기
1. 데이터 과학을 ‘나’와 연결하기
데이터 과학을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일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데이터 과학자 김성무 데이터라이즈 대표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배워봅시다.
|
Q.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데이터라이즈 대표 김성무입니다. 저는 전기공학부에서 대학교 학부를 마치고 컴파일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원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였는데요, 데이터 관련 업무를 하다가 자연스럽게 데이터 과학자가 되었습니다. Q.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일을 수행하시나요? A. 사이트에 로그를 직접 심어서 사용자들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솔루션을 만듭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사이트에 저장되는 구매 데이터, 상품 정보(상품, 이름, 카테고리 등), 사용자 정보들을 모두 종합해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해외여행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과거 패턴을 분석하고 앞으로 해외여행과 관련될 사용자들이 어떤 행동을 할지를 판단해볼 수 있겠지요. |
Q. 데이터 과학을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일과 연결할 수 있을까요? A. 당연합니다. 개인이 잘하는 것, 좋아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영역 중 하나에 해당할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의 영역에 대한 지식을 ‘도메인 지식’이라고 합니다. 도메인 지식이 있다면, 데이터 과학을 할 때 정답에 도달하는 시간이 훨씬 짧아집니다. 반대로 도메인 지식이 없다면, 데이터를 통해서 하나씩 배우는 데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하지요. 그리고 어떤 지식의 경우에는 배운다고 해서 다 알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직접 관심을 가지고 그 영역의 업무 현장에 일을 해봤을 때, 경험적으로 알 수 있는 것들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할 때는 당연히 금융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처음 분석을 실시할 때는 관련된 지식이 없으므로 분석하는 과정 내내 금융에 대해 배워나가야 하죠. 그러나 두 번째로 분석을 실시할 때는, 금융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과 지식이 있기 때문에 훨씬 수월할 것입니다. 물론, 이렇게 배운 지식을 그 분야의 전문가와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식이 아예 없으면 데이터 분석을 할 때도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이 잘하는 것, 좋아하는 것이 있다면 그 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시면 됩니다. 언젠가 그 관심과 경험이 데이터 분석과 연결되었을 때, 여러분은 특별한 전문가가 될 수 있을 겁니다.
2. 관심 데이터 찾기
내가 관심 있는 분야의 데이터를 아래 예시 사이트를 통해 찾아봅시다. (아래 사이트 외에도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kr/]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데이터랩 (https://datalab.naver.com/) |
‘네이버 데이터랩’은 소비자나 시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들에게 검색과 관련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랩에서는 급상승 검색어나 쇼핑 관련 데이터, 그리고 지역이나 댓글의 통계에 대한 데이터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https://data.kma.go.kr/) |
‘기상자료개방포털’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기후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축적된 지역별 강수량이나 기온 데이터를 자유롭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폭염, 지진, 화산과 같은 다양한 기상자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행정안전부 인구통계 (https://www.mois.go.kr/)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정책자료’-‘통계’ 탭을 클릭하면, 우리나라의 인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연령별 데이터를 읍·면·동의 단위까지 세분화하여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남녀 인구를 구분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인구 그래프를 그릴 때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
티머니 이용안내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UgdMainGd.dev) |
검색창에 ‘티머니 이용안내’라고 검색하면, 해당 웹사이트에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티머니 이용안내 홈페이지에서는 서울 지역의 대중교통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월별 버스, 지하철의 이용 승객 수와 시간대별 승차/하차 승객의 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